Cruz Loma Gesha

로스터리: DuckRabbit Coffee, OH

Producer: Galo Morales
Origin : Pichincha, Equador
Process-Type : Washed
Varietal : Gesha (Geisha)
Cup : Strawberry, Blackberry, Pineapple, Sage, Honeysuckle, Jasmine, Lemon
Roasted on : 03.31.2025

덕래빗 로스터리 이름을 듣고 궁금해서 하나 시켜봤어요. exotic subscription을 끊었는데 원두값 $25 + 배송비 $5의 구독입니다. 이번엔 100g 원두 받았어요. 15g씩 먹어도 많아야 7번 먹는거라 맛을 찾을 기회가 몇 번 없어요. 우리 동네 JBC 로스터리에선 240g $32니 살짝 비싼 감이 없지않아 있지만 그래도 궁금한 로스터리라 기대하고 마셔봅니다.


04.08 드립

그라인딩: 펠로우 오드 2 7 1/3 클릭

드리퍼 : 하리오 V60, 기본 하얀필터

레시피

  • 온도 94도
  • 원두 15g
  • 40 60 75 75
  • 45sec interval
  • 첫 푸어 3-4g/s, 그 이후 10-11g/s. 거의 센터 푸어.
  • 물 : 코스트코 purified water (소량의 미네랄 첨가됨)

추출 노트 :

  • 물이 잘 빠졌음. 10-11g/s 로 유량을 조절해보았더니 그런가 싶기도

이 그래프를 참고해 보려고 했는데 그래도 너무 빨리 부었나 싶기도.. ? ㅋㅋㅋ 담에는 8g/s로 해봅니다.

  • 적당히 식었을 때 : 산미 적당. 많이 달지는 않음. ->뭔가 베리 like 의 맛이 나는 거 같긴 함. 워시드라 역시 크게 자극적인 맛은 아님. 전혀 안 쓰다. 맛이 빈 느낌은 아니긴 한데 뭔가 언더 익스트랙션 된 거 같음. 좀 더 천천히 내려봐야 할 듯.

잘 마셨습니다.


04.08 드립

그라인딩: 펠로우 오드 2 2 1/3 클릭

드리퍼 : 에어로프레스, 기본 필터

레시피

  • 온도 94도
  • 원두 15g
  • 225g
  • 나머지는 호프만 레시피
  • 물 : 코스트코 purified water (소량의 미네랄 첨가됨)

  • 내리고서 바로 : 과추출된 거 같은 냄새가 납니다... 왜일까요... 원두를 많이 넣어서 그런가...
  • 적당히 식었을 때 : 근데 또 식어서 마시니 그냥저냥 맛있어요. 불쾌한 맛이 크게 나지도 않고. 과추출이 아닌가... 어렵네요 커피
  • 사실 원두도 적게 쓰고 더 고운 분쇄도로 돌려야 하는데 그러면 맛이 이상해질 거 같은데... 담번에 함 해볼게요.

잘 마셨습니다.

Read more

Making Kernel Bypass Practical for the Cloud with Junction - NSDI'24

Latency나 Bandwidth나 커널에서 성능을 많이 잡아먹다 보니 userspace에 올려서 kernel bypass하는 시스템들이 잔뜩 나오고 있다. 그런데 userspace에 올리면 결국 kernel입장에서는 안 보이다 보니까 kernel은 최선의 선택을 할 수 없을 것이다. 그래서 이걸 좀 Practical하게 만드려는 것이 이 논문의 목표이다. 이 논문에서 제시한 userspace abstraction의 문제점은: 1. 리소스를 커널로부터 미리 선점하기

By MaxLevSnail

푸어 오버 커피 이야기

드립커피에 대해 좀 잘 알아보고 싶어서 Gemini 2.5 Pro Deep Research를 통해 조사해 보았습니다. 그리고 틈나는 대로 번역 + 의역 + 필요한 내용 가감 중입니다. 그냥 한국어로 담부터 조사를 시켜봐야겠어요... 틀린 내용이 있을수도 있으니 유의해 주시고 혹시 시간이 되신다면 댓글로 지적 부탁드립니다. 참고로 푸어오버와 드립이 혼용되고 있는데요, 제가 알기로는 일본식을 드립이라

By MaxLevSnail
현대 프랑스 디저트의 역사 (1945년~)

현대 프랑스 디저트의 역사 (1945년~)

내가 공부해 보고 싶어서 GPT의 deep research 기능을 활용해 조사해 보았다. 시간날 때마다 번역 예정. 결국 GPT가 찾은 내용이기에 공신력은 없습니다. 틀린 내용이나 덧댈 내용 있으면 말씀해주세요. 식량 부족의 시기였던 제2차 세계대전 이후, 프랑스의 제과 예술은 다시 활기를 되찾았다. 버터, 설탕, 크림과 같은 주요 재료들이 풍부해지면서 제과 장인들은 오랫동안 사랑받아온

By MaxLevSnail